생후 6개월 ~ 3세 어린이에게 잘 발생하는 이물질 삼킴 사고
어린이가 장난하다 삼키는 이물의 종류는 동전, 머리핀, 열쇠, 반지, 바둑돌, 수은 전지, 플라스틱 장난감 조각, 귀걸이나 목걸이 같은 장신구, 바늘, 못, 자석, 음식물 등 매우 다양합니다.
대부분 뜻하지 않은 실수로 이물질을 삼켜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식도-위장관내 이물은 전체의 약 80%가 소아에 발생하는데 5세 이하, 특히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가장 빈번하며, 미국의 경우 연간 평균 10만건이 보고되었고, 약 1500명 정도가 이물섭취로 사망한다고 알려져 주의가 요구됩니다.
48~72시간 이후 자연배출 안되면 내시경 이용한 이물질 제거 시행
이물이 흔히 걸리는 위장관 부위는 식도, 위 유문부, 십이지장공장 만곡부, 회맹판, 항문 등입니다.
대부분의 상부위장관 이물은 자연 배출되지만, 부식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이로 인한 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 또는 장시간(48~72시간) 자연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와 관련하여 과거에는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이물을 보다 빨리, 간단하게 제거하는 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치료방법은 이물의 종류와 크기, 위장관 내 이물의 위치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내시경적 이물 제거술의 장점
외과적 시술보다 감염위험이나, 통증, 시술 시간, 회복 시간 등이 경감되며, 시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